농식품부 27개 한우농가에 국내 첫 '저탄소 인증' 출하까지 온실가스 10% 이상 감축! 한우도 이제 '저탄소 인증' 시대
페이지 정보

본문
정부 27곳 농가에 인증...출하까지 온실가스 10% 이상 감축
조기출하·분뇨처리 기술 덕...이달부터 인증 제품 판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저탄소 인증을 받은 27개 한우농가에 대해 인증서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ESG경제=권은중 기자] 기후이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수준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최초로 저탄소 인증 한우가 출시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저탄소 인증을 받은 27개 한우농가에 대해 인증서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는 생산과정에서 저탄소 축산기술을 적용해 농가 평균 배출량보다 10% 이상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경우 인증하는 제도다.
축산업은 많은 산업 가운데 온실가스를 많이 발생하는 업종으로 지목돼 왔다. UN FAO(세계농업기구)는 2006년 축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인간의 모든 활동에서 배출되는 세계온실가스(Global Greenhouse Gas: GHG) 가운데 18%라고 밝힌 바 있다.
소는 다른 가축들보다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소는 특히 이산화탄소에 견줘 20배나 대기의 온실효과에 악영향을 끼치는 또다른 온실가스인 메탄을 많이 발생한다. 2015년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자료를 보면, 전 지구 메탄가스 총배출량 가운데 소의 메탄이 기여하는 비중이 4%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저탄소 인증을 받은 27개 한우농가에 대해 인증서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는 생산과정에서 저탄소 축산기술을 적용해 농가 평균 배출량보다 10% 이상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경우 인증하는 제도다.
축산업은 많은 산업 가운데 온실가스를 많이 발생하는 업종으로 지목돼 왔다. UN FAO(세계농업기구)는 2006년 축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인간의 모든 활동에서 배출되는 세계온실가스(Global Greenhouse Gas: GHG) 가운데 18%라고 밝힌 바 있다.
소는 다른 가축들보다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소는 특히 이산화탄소에 견줘 20배나 대기의 온실효과에 악영향을 끼치는 또다른 온실가스인 메탄을 많이 발생한다. 2015년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자료를 보면, 전 지구 메탄가스 총배출량 가운데 소의 메탄이 기여하는 비중이 4%다.
하지만 지금까지 소를 비롯한 축산물에 대해서는 저탄소 인증제도가 도입되지 않았다. 정부가 농산물에 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2012년부터 인증제를 시행해, 2022년 기준 65개 품목을 대상으로 8000호 이상의 농가가 저탄소인증 농산물을 생산해온 것과 축산물은 한발 비껴 서 있었다.
이는 저탄소 축산기술 인증 기준이 확립되지 않아 관련 인증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축산물 저탄소 인증을 위해 지난 1년간 축산농가, 유통업계, 소비자 등으로 구성된 정책단을 운영했다. 이를 토대로 축산물 저탄소 인증제 도입을 위해 연구용역과 전문가 자문 등을 진행해 인증기준을 마련했다.
이번에 저탄소 축산물 인증을 받은 농가는 ▶조기출하 ▶탄소저감 분뇨처리 ▶에너지 절감 시설 등의 기술을 적용해 탄소 배출을 저감했다.
인증받은 농가 가운데 상위 5개 농가는 조기출하와 가축분뇨 처리기술 등을 적용해 일반농가 대비 평균 17.2%의 온실가스 감축률을 보였다.

이번에 소고기에 대해 저탄소 축산물 인증을 받은 농가는 조기출하와 가축분뇨 처리기술 등을 적용해 일반농가 대비 평균 17.2%의 온실가스 감축률을 보였다. (사진=경남도 제공)
농식품부는 저탄소 축산물 인증사업이 자리를 잡으면 한우 출하기간 단축 등의 효과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우 사육기간을 평균 30개월에서 26개월 수준으로 단축하게 되면 마리당 약 8.92%의 온실가스가 줄어든다. 사료비도 1마리당 약 10%가량 절감될 것으로 분석된다. 또 축산물 저탄소 인증제 도입이 기후이변과 관련된 축산업에 대한 소비자의 경계심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도 보인다.
정부는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 한우 시범사업은 8월 추가 모집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2024년부터 저탄소 인증을 양돈·낙농까지 확대하고 인증물량도 늘릴 계획이다.
이번에 인증받은 농가 중 일부는 백화점 등과 출하 계약을 맺고 이달부터 판매할 예정이다. 소비자는 저탄소 인증마크와 축산물이력시스템을 활용한 개체 조회를 통해 저탄소 축산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인증농가의 원할한 판로 확보를 위해 유통계약을 지원하고 소비자단체와 협업해 저탄소 축산물 인지도 제고에 나설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탄소중립 프로그램 사업과 연계해 저탄소 인증농가에 탄소중립 직불금 지원도 실시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축산분야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축산 현장에 탄소감축 기술 보급을 더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 한우 시범사업은 8월 추가 모집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2024년부터 저탄소 인증을 양돈·낙농까지 확대하고 인증물량도 늘릴 계획이다.
이번에 인증받은 농가 중 일부는 백화점 등과 출하 계약을 맺고 이달부터 판매할 예정이다. 소비자는 저탄소 인증마크와 축산물이력시스템을 활용한 개체 조회를 통해 저탄소 축산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인증농가의 원할한 판로 확보를 위해 유통계약을 지원하고 소비자단체와 협업해 저탄소 축산물 인지도 제고에 나설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탄소중립 프로그램 사업과 연계해 저탄소 인증농가에 탄소중립 직불금 지원도 실시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축산분야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축산 현장에 탄소감축 기술 보급을 더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링크
- 이전글탄소중립 정책현황 및 창업아이템 -경상국립대학교 서동철 교수님 23.07.13
- 다음글2027년까지 도시농업인 300만명·공동체 1천곳으로 늘린다 23.07.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